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초연금 자가진단 그리고 모의계산 하는 방법

by ※☆&○★◎# 2021. 2. 8.

기초연금 자가진단 방법과 기초연금 모의계산 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기초연금 수급자격과 재산기준, 소득기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무래도 나이가 많으신 어르신들이기에 기초연금 수급자격에 대해 알려드려도 본인이 판단하기 어려운 내용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단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되는지 기초연금 자가진단 하는 방법과 자격이 된다면 기초연금은 받을 수 있는 대상이 되는지 기초연금 모의계산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C 또는 핸드폰을 다룰 수 있는 어르신이라면 직접 해보시길 권해드리며, 직접 해보시기 어렵다면 자녀분들께서 한 번 기초연금 자가진단 및 모의계산 대신 해주시기 바랍니다. 

 

 

 

 

기초연금 자가진단 방법

 

기초연금 자가진단 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 기초연금 자가진단은 기초연금 신청대상자에 해당하는지 하지 않는지를 판단하고 기본적인 수급자격에 대해 설명해놓은 것으로서, 신청대상자에 해당한다하여 기초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인이 기초연금액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기초연금 모의계산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포털사이트에서 [기초연금]을 검색한 뒤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메인화면의 [기초연금 자가진단]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나이, 국적, 직역연금 수급여부, 자동차, 회원권, 무료임차소득, 거주지, 가구유형에 대한 항목을 점검하고, 각 항목별로 기초연금 수급요건에 대해 간단한 설명이 부가되어 있습니다. 

 

나이 요건에 대한 항목으로 기초연금은 만65세 이상인 분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만65세 생일 전월부터 기초연금 신청 가능하며 이미 만65세를 초과하신 분은 연중 언제나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적 요건입니다. 기초연금은 한국 국적을 가지고 국내에 주민등록이 있으신 분들만 신청가능합니다. 국적은 한국이나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국민은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직역연금 수급여부에 대한 항목으로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직원연금 수급권자와 그 배우자는 기초연금 신청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보유한 자동차가 3,000cc 이상 또는 차량가액 4,000만원 이상일 경우 그 가액을 그대로 적용하고, 그 외에는 기본재산 공제금액을 공제한 후 연 4% 소득환산율로 계산합니다. 

 

위에 해당하는 회원권은 기본재산공제 대상에서 제외되고, 월 100%의 소득환산율이 적용됩니다. 

 

자녀 명의의 시가표준액 6억원 이상의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는 경우 본인 또는 배우자에 대해 임차료에 상응하는 소득으로 인정하는 금액으로 연 0.78%의 소득을 적용합니다. 

 

주민등록상의 주소지가 대도시인 경우 1억3,500만원, 중소도시의 경우 8,500만원, 농어촌인 경우 7,250만원을 재산에서 기본공제합니다. 

 

부부가구인 경우 본인의 재산, 소득뿐 아니라 배우자의 재산, 소득도 모두 조사하며, 부부 모두 기초연금 수급대상자인 경우 20% 감액된 금액으로 지급받게 됩니다. 자세한 기초연금 수급자격 재산기준과 소득기준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초연금 모의계산 방법

 

기초연금 모의계산 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 기초연금 신청대상자에 해당하고 수급자격에 대해 알아보셨다면 내가 기초연금 수급가능성이 있는지 모의계산 가능합니다. 기초연금 자가진단 방법과 마찬가지로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홈페이지 메인화면에서 [소득인정액 모의계산]을 클릭합니다. 

 

기초연금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기초연금 모의계산은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달라는 주의 사항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앞전에 알아보았던 [기초연금 자가진단] 바로가기 링크도 있네요. 

 

 

우선 가구유형이 부부가구인지 단독가구인지, 거주지가 대도시인지 중소도시인지 등의 기본정보를 입력합니다. 

 

다음으로 소득정보를 입력해줍니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 무료임차소득을 입력해줍니다. 표의 맨 오른쪽에 각 항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재산정보를 입력해줍니다. 건축물, 토지, 임차보증금 등의 부동산 정보, 자동차, 회원권, 금융재산 정보, 부채정보를 입력한 후 [결과보기]를 클릭합니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이 입력한 정보에 대해 간략하게 보여주고, 내가 입력한 자료를 토대로 계산한 소득인정액을 계산해줍니다. 노인 부부가구와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일 경우 기초연금 수급대상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으나 말그대로 모의계산이기 때문에 실제 신청결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에 대한 설명도 아래처럼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기초연금 자가진단 그리고 모의계산 방법 안내드렸습니다. 비록 자가진단과 모의계산에 불가하지만 나의 정보만 정확히 입력한다면 실제 결과와 크게 차이는 나지 않겠죠? 미리 알아보시고 기초연금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가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포스팅하는데 있어서 응원의 공감♥과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이 글도 읽어보세요 ★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