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공시지가 조회 및 열람 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 우선 부동산 가격을 말할 때 '시세'와 '공시가격'의 개념을 사용하는데, 시세란 부동산이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의미하고, 공시가격이란 정부가 매년 전국의 대표적인 토지와 건물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이 때 토지에 대한 공시가격을 공시지가라고 부르는데, 내가 소유하고 있는 토지 가격이 궁금하시다면 개별공시지가 조회 를 통해 토지 가격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개별공시지가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고 개별공시지가 조회 및 열람 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
개별공시지가란 ?
개별공시지가란 국토교통부장관이 매년 공시하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개별토지에 대한 단위면적당(원/㎡) 가격을 말합니다. 참고로 표준지공시지가란 전국 토지 중 대표성이 있는 약50만 필지를 뽑아 조사·평가하여 공시한 표준지의 단위면적당(원/㎡) 가격을 말합니다. 개별공시자가는 토지관련 국세 및 지방세의 부과기준이 되며 개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의 부과기준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부동산 지표 중의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개별공시지가 조회 및 열람 방법
개별공시지가 조회 및 열람 방법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 접속하시면 메인화면의 [개별공시지가] 를 클립합니다.

개별공시지가 조회 및 열람은 해당 시·군·구청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야하는데,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해당 화면으로 바로 접속 가능하므로 편리합니다. 개별공시지가 조회 하고자하는 시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사진과 같이 서울부동산정보조회 사이트인 일사천편리 사이트로 접속됩니다. 화면 상단에서 지번 또는 도로명으로 개별공지시가 조회 하고자하는 주소 정보를 입력하시면 연도별로 개별 공시지가 조회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저는 서울 송파구 신천동의 파크리오 아파트를 검색해보았습니다. 30년 전과 비교했을 때 무려 16배 이상의 지가 상승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아파트 공시지가는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통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서 아파트 시세 조회 및 전국토지시세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공시지가 뿐 아니라 실거래가 정보도 꼭 잊지 말고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상 개별공시지가 조회 및 열람 방법 안내드렸습니다. 위 정보가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포스팅하는데 있어서 응원의 공감♥과 댓글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이 글도 읽어보세요 ★
댓글